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가주 ‘레거시 입학’ 전면 금지…뉴섬 서명, 내년 9월부터 시행

앞으로 가주 지역 대학에서는 ‘레거시 입학(Legacy Admission)’이 전면 금지된다.   레거시 입학 제도는 입시에서 동문 자녀 및 기부자 관련 학생을 우대하는 정책으로 그동안 형평성 문제가 제기돼왔다.   개빈 뉴섬 가주 주지사는 대입 지원서 심사에서 기부자나 동문 자녀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레거시 정책을 금지하는 법안(AB 1780)에 서명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현재 뉴섬 주지사는 법안 서명 마감일(9월30일)에 맞춰 각종 법안에 서명 또는 거부권을 행사하고 있다. 〈관계기사 4면〉   관련기사 과잉행동 유발 색소 간식, 학교서 금지…뉴섬 주지사 각종 법안 결정 뉴섬 주지사는 성명을 통해 “‘캘리포니아 드림’은 운이 좋은 소수에게만 주어져서는 안 된다”며 “고등 교육의 문은 모두에게 공평하게 열려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그동안 가주에서는 레거시 입학 정책을 불법으로 규정해왔지만, 이를 위반하는 대학에 대한 처벌 규정은 없었다.   이에 따라 오는 2025년 9월 1일 부터는 각 대학이 AB 1780 준수와 관련해 보고서를 매년 가주 법무부에 제출해야 한다. 만약 위반 사항이 드러날 경우 법무부는 위반 대학을 기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난해의 경우 USC의 경우 레거시 정책을 통해 입학한 학부생은 총 1791명이었다. 전체 입학생 중 14.5%에 해당한다. 스탠퍼드대학의 경우는 295명(전체 입학생 중 13.6%)이 레거시 정책을 통해 입학했다. 장열 기자ㆍjang.yeol@koreadaily.com레거시 완료 레거시 입학 레거시 정책 전체 입학생

2024-09-30

[FOCUS] 도마 위 오른 불공정 ‘교육 대물림’

연방 대법원이 소수계 대입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에 위헌 결정을 내렸다. 대학의 다양성 확보를 위해 지난 62년간 유지해 온 제도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소수계 우대정책이 폐지되면서 논란이 되는 것이 특혜 입학이다. 그중 하버드대의 동문 자녀 우대정책, 즉 ‘레거시 입학(Legacy Admission)’이 도마 위에 올랐다. 대법원 판결로 입시에서 인종적 요소가 배제된 것에 이어, 부모의 학력·재력도 고려 항목이 돼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레거시 입학은 대부분의 아이비리그를 비롯해 미국 톱 30위권에 속한 사립대학 중 상당수가 시행하고 있다.     최근 비영리단체 ‘민권을 위한 변호사(Lawyer for Civil Rights·LCR)’는 동문 자녀 및 기부자 관련 학생에게 입학시 유리한 조건을 적용하는 하버드대의 레거시 제도는 ‘차별적’이라며 연방 교육부에 문제를 제기했다. 단체에 따르면 레거시를 통해 입학한 학생의 70%가 백인 부유층이다.     레거시 학생들의 합격 가능성은 동문 또는 기부자와 관련이 없는 일반학생에 비해 최대 7배까지 높다. 2019년도 하버드 졸업생의 경우 부모나 친척 중에 동문을 둔 학생 비율이 28%로 나타났다. 레거시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해도 동문 자녀들의 합격률은 일반학생보다 33% 정도 높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입학 관계자들은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들이 자녀 교육에 더 많이 투자해, 입시에서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한다.   레거시 제도는 동부 명문대 뿐 아니라 캘리포니아 대학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가주 학교 중 레거시를 적용하는 대표적인 대학은 USC, 스탠퍼드대, 샌타클라라대 등이다. 2022년도 USC 합격생 분석에 따르면 1740명이 동문 및 기부자와 관계된 학생이다. 이는 전체의 14.4%를 차지한다. 이중 96%는 동문, 4%는 기부자와 연관된 학생이다. 스탠퍼드대도 287명이 입학해 전체의 13.8%를 차지했다. 92%는 동문, 8%는 기부자 관련이다.     가주의 페퍼다인대, 뱅가드대학, 클레어몬트맥케나 칼리지 등도 레거시를 허용하지만 이들 대학의 레거시 입학 비율은 1.5~3.6%로 USC와 스탠퍼드대 보다는 낮다.     소수계 우대입학 위헌 판결이 나오면서 레거시에 대한 폐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도 지난달 “대학입시는 누구에게나 공정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며 “특권을 확대하는 레거시 제도 등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가주 하원에도 레거시를 채택하는 대학에 재정 지원을 하지 말자는 법안이 상정돼 있다.   레거시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많은 대학들이 입학사정에서 채택하지 않고 있다. 앰허스트, MIT, 존스홉킨스 등은 이미 없앴고 최근에 웨슬리언 대학이 동참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주립대학인 UC·CSU(캘스테이트)와 캘텍, 포모나칼리지 등 77개 사립대학이 레거시를 적용하지 않는다. 지난달에는 버락 오마바 전 대통령이 졸업한 가주 리버럴 아츠 대학 옥시덴털 칼리지가 폐지에 동참했다.     대학에서 레거시 입학을 허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교 기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다. 부모와 동문의 기부금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하버드대의 경우 동문과 기부자들로부터 받은 돈이 학교 자선 기금의 45%에 육박한다.     레거시 반대가 힘을 얻고 있지만 대학의 자율을 중시하는 미국에서 일률적인 규제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럼에도 레거시 제도를 포기하는 대학들은 늘어나고, 대법원 판결로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대학 교육은 미국인 전체를 위한 것이지 소수 특권층을 위한 것은 아니다.” 유색인종지위향상협회(NAACP) 데릭 존슨 회장이 최근 연방 교육부에 전달한 메시지다.        ━   SAT 성적, 부모 학력·재력과 비례     SAT는 칼리지보드에서 주관하는 대학지원 표준화 시험이다. SAT를 처음 고안할 때의 목표는 대학지원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부모의 재력·학력 수준과 자녀들의 성적과의 상관 관계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시험이 됐다. 즉 부모 학력이 높고 집이 부유할수록 자녀들의 시험 성적이 높다.   2014년 SAT 성적과 부모 재산·학력을 분석한 자료가 발표됐다. 그 결과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자녀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가구소득 2만달러 미만인 학생의 평균점수는 1321점(2400점 만점)에 불과했지만 20만달러 이상 가정의 학생은 1714점으로 나왔다. 거의 400점 차이다. 또한 2만달러 미만에서 20만달러 이상까지의 10단계 구분에서 한 단계도 예외없이 ‘수입이 많을수록 점수가 높아지는 비례’는 지켜졌다.   1만~2만달러 가구소득 가정의 학생 점수는 1321점, 2만~4만은 1102점, 4만~6만은 1461점, 6만~8만은 1497점, 8만~10만은 1535점, 10만~12만은 1569점, 12만~14만은  1581점, 14만~16만은 1604점, 16만~20만은 1625점, 20만 달러의 이상은 1714점이다. 가구소득 증가에 맞춰 성적 상승이 정확히 비례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SAT가 ‘학업 적성 테스트(Scholastic Aptitude Test)’가 아닌 ‘학생 재력 테스트(Student Affluence Test)’로 전락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SAT는 2016년 전까지는 수학·독해·작문의 3개 부문으로 치러졌다. 만점은 2400점이었다. 3부문 중에서 수학이나 독해에 비해 작문에서 가정환경에 따른 수험생들의 학력 격차가 컸다. 부유층 학생과 저소득 학생의 작문 점수차이가 평균 78점으로 나타나 수학(75점)이나 독해(72점)보다 높았다.     2016년부터 작문 부문을 없애고 1600점을 만점으로 SAT를 변경했지만 빈부격차에 따른 성적차이는 사라지지 않았다.     170만 명이 치른 2022년 SAT시험의 평균 점수는 1068점(만점 1600점)이다. 주별로도 평균 점수는 차이가 있고 인종별로 우열도 크다. 또한 수학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우수하고 영어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앞서는 전형적인 패턴도 있다. 문제는 빈부에 따른 학력 차이다. 가구수입이 5만1591달러 미만인 학생들의 평균이 914점인 반면 11만244달러 이상 상 가정의 점수는 1161점이다. 무려 250점 가까운 차이다.     부모 학력별로 자녀들의 점수 격차도 뚜렷하다. 2014년 조사에서 고교 졸업장이 없는 부모에서 태어난 학생의 평균 점수는 1294점(2400점 만점), 고교 졸업은 1394점, 2년제 대학은 1434점, 4년제 대학은 1576점, 대학원 이상은 1689점이다. 소득에 따른 점수 상승과 동일한 패턴이다.     교육전문가들은 시험방식을 개선해 빈부에 따른 성적차이를 조금 줄일 수는 있지만 해결책은 못찾고 있다. 빈곤층 학생이 양질의 교육을 받는 부유층 학생과 경쟁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이런 이유로 최근 명문대를 중심으로 입학사정에서 SAT 결과 제출을 폐지했지만 SAT 점수가 높으면 입학에 유리해 우수학생들은 여전히 응시하고 있다.  김완신 에디터FOCUS 불공정 교육 동문 자녀들 레거시 학생들 레거시 입학

2023-08-06

연방정부, 하버드대 ‘레거시 입학’ 민권법 위반 조사 착수

백인과 부유층의 특혜라는 비판을 받아온 동문자녀 입학 우대정책, 즉 ‘레거시(Legacy) 입학’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연방정부가 하버드대 레거시 입학제도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레거시 입학이 1964년 제정된 연방 민권법(Civil Rights Act)을 위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사다.     25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교육부 산하 민권국(OCR)은 레거시 입학 반대 의사를 밝히며 조사를 촉구해 온 비영리단체 ‘민권을 위한 변호사’에 연방 차원의 조사가 시작됐다고 통보했다. 이외에도 흑인단체인 치카 프로젝트(CHIKA Project), 라티노 단체 그레이터보스턴라티노네트워크(GBLN) 등 레거시 입학에 반대한 단체들에 민권 조사 시작 사실을 알렸다.   교육부는 성명에서 “민권법 타이틀6, 인종·피부색깔 또는 국적(언어)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다는 내용에 따라 공개 조사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레거시 입학에 대한 비판은 꾸준히 이어졌지만, 지난달 말 연방대법원이 어퍼머티브 액션에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다시 한번 불이 붙었다.     연방대법원 판결에 반대하는 이들은 “오히려 동문이나 기부자 자녀 등을 대학입학에서 우대하는 ‘레거시 입학’이 사라져야 평등해질 것”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민권을 위한 변호사’에 따르면, 하버드대 동문 관련 지원자가 입학할 가능성은 동문이 아닌 경우보다 6배나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하버드대 동문이나 기부자 관련 지원자의 70%가 백인으로, 유색인종 지원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이 단체는 설명했다. 전날 발표된 하버드대 경제학자그룹 ‘교육기회연구’(Opportunity Insights) 조사에서도 지원자 조건이 같으면 경제력 상위 1% 가정의 수험생은 다른 수험생들보다 합격 가능성이 3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문대 학생 6명 중 1명은 상위 1% 가정 출신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연방정부 하버드대 하버드대 레거시 연방정부 하버드대 레거시 입학

2023-07-25

뉴욕주 사립대 10곳 중 7곳, ‘레거시 입학’ 운영

연방대법원이 대학 입학 시 소수계 인종을 우대하는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이 위헌이라고 판결한 이후, 대학 동문 자녀의 입학 우대 정책인 ‘레거시(Legacy) 입학’ 제도의 폐기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뉴욕주 내 사립대학 중에는 10곳 중 7곳 이상이 입학 지원자를 판단할 때 해당 대학을 졸업한 동문과 관련이 있는지 따져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데일리뉴스가 비영리단체 ‘에듀케이션리폼나우’ 데이터를 인용해 보도한 데 따르면, 뉴욕주 내 사립대 상당수는 레거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 지역 공립대학의 경우 3분의 1 이상이 입학 지원자가 동문과 관련이 있는지 따져보는 것으로 드러났다.   코넬대의 경우 이미 어퍼머티브 액션 위헌 판결 전부터 레거시 입학 문제가 이슈가 된 바 있다. 2018년 코넬대 학생들은 레거시 입학 중단을 요구하는 시위를 이어갔으며, 결국 코넬대 학생회가 거의 만장일치로 레거시 입학 관행에 반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2021년 기준 졸업생의 거의 17%가 레거시 입학으로 학교를 다녔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상황이다.     콜게이트대 역시 신입생의 약 7%가 동문의 자녀 또는 손자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레거시 입학 제도로 지원한 학생의 3분의 1은 합격하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이는 전체 합격률(12%)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레거시 입학 제도에 대한 반발이 커지는 가운데, 앤드류 고나데스(민주·22선거구) 뉴욕주 상원의원은 뉴욕주에 위치한 대학들의 레거시 입학을 금지시키는 법안(S4170A)을 대표 발의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레거시 뉴욕주 레거시 입학 뉴욕주 사립대 뉴욕주 상원의원

2023-07-17

소수계 대입 우대 여부에 졸업생 자녀 특혜도 타격

소수계 대입 우대정책(어퍼머티브 액션)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졸업생의 자녀들에게 특혜를 주는 일명 '레거시' 입학 전형도 타격을 받을 전망이라고 대입 전문 매거진이 내다봤다.   '인사이드하이어에드'는 7일 '어퍼머티브 액션이 레거시 입학 없앨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연방대법원이 심리 과정에서 대입 심사 과정에서 지원자의 인종을 우선할 수 없는 것처럼 가족에게 입학 우선권을 주는 레거시 입학 정책도 고려할 대상인지 아닌지를 토론했다고 밝혔다.   이 기사는 케탄지 브라운 잭슨 대법관이 대입 심사과정에서 지원자의 배경과 개인적 특징을 고려하고 가치 있게 여길 수 있지만, 인종을 우선할 수는 없다는 원고의 주장에 2개의 지원자 에세이를 예로 들면서 레거시 정책에 따라 지원자에게 주는 입학 기회의 정당성에 대해 질문했다고 전했다. 또 잭슨 대법관의 주장에 닐 고서치 대법관도 동조했다고 밝혔다.   잭슨 대법관이 제시한 첫 번째 사례는 남북전쟁 이전부터 여러 세대에 걸쳐 살고 있으며 이번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을 입학하면 5세대에 걸쳐 다닌다는 내용이 적혀 있는 에세이다. 반면 두 번째 케이스는 지원자가 노스캐롤라이나에 여러 세대에 걸쳐 거주하는 흑인이며 대학에 입학해 가문의 유산을 기리고 싶다고 적혀 있다.     잭슨 대법관은 하버드와 노스캐롤라이나대를 상대로 소송한 '공정한 입학을 위한 학생들(SFFA)' 담당 변호사에게 "첫 번째 지원자는 가족의 배경이 입학심사과정에 고려 대상이 되지만, 두 번째 지원자는 인종과 연결돼 있어 평가받을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고서치 대법관은 "대학들은 입학심사에서 다양한 요소를 반영해 평가한다. 기부자들의 자녀이거나 동문 레거시, 운동 특기 등이다. 부유한 대학들이 인종을 고려하는 요소를 없애고 진짜 다양성을 성취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고 질문했다.   또 다른 대법관 브렛 캐버노도 정부를 대변하는 변호사에게 인종 중립적 입학으로 충분히 다양성에 대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면 기부자의 자녀나 레거시 같은 것을 없애야 한다는 입장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런 대법원의 입장에 대해 비영리 교육재단 교육개혁의 제임스 머피 시니어 정책 분석가는 "레거시 입학 전형은 동문 자녀들에게 선천적 이점을 제공하며 주로 백인이 해당한다. 이는 체계적인 인종차별"이라며 레거시 전형의 철폐를 주장했다.   장연화 기자연방대법원 레거시 레거시 입학 레거시 정책 동문 레거시

2022-11-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